[Korean version below]
On 15 November 2020, leaders of the ASEAN Member States, Australia, China, Japan, Republic of Korea and New Zealand witnessed the signing of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Agreement.
The RCEP Agreement marks ASEAN’s biggest free trade pact to date, covering a market of 2.2 billion people with a combined size of US$26.2 trillion.
What is the RCEP Agreement?
The RCEP Agreement is an agreement to broaden and deepen ASEAN’s engagement with Australia, China, Japan, Republic of Korea and New Zealand. Together, the RCEP participating countries account for approximately 30% of global GDP and 30% of the world’s population. The objective of the RCEP Agreement is to establish a modern, comprehensive, high-quality and mutually beneficial economic partnership that will facilitate the expansion of regional trade and investment and contribute to global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ccordingly, it will bring about market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to businesses and people in the markets covered. The RCEP Agreement will work alongside and support an open, inclusive and rules-based multilateral trading system.
What will the RCEP Agreement do?
The RCEP Agreement contains 20 Chapters relating to trade in goods, trade in services, investment, temporary movement of natural persons, rules of origin, customs procedures and trade facilitation, trade remedies, intellectual property, competition, government procurement and institutional provisions.
The RCEP Agreement will eliminate a range of tariffs on imports and the general elimination of quotas, greater transparency on the application of non-tariff measures, administration of import licensing procedures and the application of fees and formalities connected with importation and exportation between the member countries. The RCEP Agreement will provide a single rulebook covering all 15 markets, which has the potential to significantly reduce complexity and, therefore, compliance costs for exporters.
Interestingly, the RCEP Agreement provides a Chapter on Professional Services, which encourages increased dialogue between two or more interested members relating to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nd relevant bodies to negotiate arrangements for mutual recognition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licensing or registration in professional services sectors of mutual interest.
Benefit for Cambodia – Rules of Origin
Perhaps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the RCEP Agreement, and the one which could favor Cambodia, is with respect to the rules of origin (ROO) definitions, which are now consolidated for the first time amongst participating nations. To recap, ROO provide criteria needed to determine the national source of a product. Their importance is derived from the fact that duties and restrictions in several cases depend upon the source of imports. ROO are used by countries to determine whether imported products shall receiv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or preferential treatment an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ling and marking requirements. Cambodia, for example, follows the 40% rule with respect to the COO requirements under a number of its trade agreements, whereby at least 40% of the value of the imported product must have originated from a member state to qualify for tariff relief.
Australia, China, Japan, New Zealand, and South Korea are technically advanced nations and to that end have high-end factories, where labor and production costs are relatively high. This means that for processes that need careful labor-intensive involvement, such as finishing garments, the unified rules of origin regulations under RCEP should motivate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investment for the finishing of products, such as garments.
By comparison, under existing free trade agreements, businesses with global supply chains might face tariffs because their products contain components that are made elsewhere which means they often cannot meet respective countries ROO.
This will hopefully lead to an increase in investment interest from Australia, Japan, New Zealand, Singapore and South Korea (where production costs are higher) in countries with lower-cost and lesser-skilled workers, such as Cambodia.
Under the RCEP Agreement, businesses can move components of their supply chains to low-cost countries safe in the knowledge that — as long as the content comes from anywhere within the 15 markets in Asia meeting the ROOs for RCEP — it can be shipped to any of the 15 markets in Asia without any changes in formulation. In addition, the new RCEP certificate of origin should reduce costs and time for companies.
What happens next?
The RCEP will enter into force 60 days after the date on which at least three non-ASEAN signatories and six ASEAN signatories have completed their necessary domestic ratification procedures and notified the depositary that they are ready.
We can help
DFDL can assist you to understand the benefits that your business can obtain under the RCEP Agreement. We have a dedicated team that has advised many clients on structuring, inbound investment, customs and free trade agreements. Please feel free to contact us with any queries at cambodia@dfdl.com.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 체결
지난 2020년 11월 15일,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의 리더와 함께 대한민국, 중국, 일본, 호주 및 뉴질랜드가 입회하여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를 체결하였습니다.
RCEP협정은 총 규모가 26.2조 달러에 달하는 22억 인구의 시장을 포괄하는 동남아 국가연합(ASEAN)에서 최대 자유 무역 협정입니다.
RCEP협정이 무엇인가요?
RCEP 협정은 대한민국, 중국, 일본, 호주 및 뉴질랜드와 동남아시아 국가(ASEAN)의 참여를 확대 및 심화하는 협정입니다. RCEP참여 국가는 전 세계 GDP의 약 30% 및 세계 인구의 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RCEP 협정의 목적은 지역 무역 및 투자 확대를 촉진하고 세계 경제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 현대적, 포괄적, 고품질 및 상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경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시장내 기업과 사람들에게 고용기회를 창출할 것입니다. RCEP협정으로인해 개방적, 포괄적, 규칙을 기반으로하는 다자간의 거래 시스템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 도울 것 입니다.
RCEP 협정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RCEP 협정은 상품 무역, 서비스 무역, 투자, 자연인의 임시 이동, 원산지 규정, 세관 절차 및 무역 촉진, 무역 구제, 지적재산, 경쟁, 정부조달 및 제도적 조항과 관련된 20개의 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RCEP 협정은 비관세조치에 투명성 강화하여 다양한 수입관세 철폐 및 일반적 쿼터 철폐, 수입 허가 절차 및 회원국간의 수출입과 관련한 관세 및 절차의 적용을 철폐 해나갈 것입니다. RCEP협정은 15개 시장을 모두 포함하는 단일규정집을 제공하며, 이는 복잡성과 수출업체의 규정준수 비용을 크게 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RCEP 협정은 전문 서비스에 대한 장을 명시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본 장은 상호 전문 자격 인증과 관련된 둘 이상의 이해관계자간의 담화와 전문 자격의 인정, 면허, 또는 상호이익을 위한 전문 서비스 부문 등록에 대한 협상을 위한 회원간의 담화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수혜 규정 – 원산지 규정
RCEP협정의 가장 여겨볼 만한 내용이자 캄보디아에 호혜적인 내용은 현재 참여국간에 최초로 통합된 원산지 규정(ROO) 정의 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짧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원산지 규정은 제품의 국가 출처를 정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원산지 규정이 중요한 이유는 관세와 제재가 수입 출처에 따라 구분되기 때문이며 원산지 규정은 수입된 제품이 최혜국 대우를 받을 것인지 또는 우대를 받을 것인지를 가름하고 라벨링 및 표시 요건 적용을 위해 여러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로는 캄보디아는 여러 무역협정에 따른 원산지 증명서(COO)요건과 관련하여 40% 규정에 따르며, 관세 감면을 받고자 하는 경우 수입제품의 최소 40%가 회원국에서 원천 되어야 한다는 규정입니다.
대한민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는 엄밀히 따지자면 선진국가의 반열에 있으며 인건비와 생산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급 공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의류 마감과 같이 신중함을 요하고 노동 집약적 공정의 경우 비싼 노동력으로 제조하기 보다는 RCEP에 따른 통합 원산지 규정에 의거해 의류 등과 같은 제품의 마감을 인건비 및 생산비가 비교적 낮은 국가에서 공정을 통해 제조 부문 투자의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비교되게 기존의 자유 무역 협정에 따르면 글로벌 공급망을 가진 기업은 자신의 제품에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유로 인하여 각 국가의 원산지 규정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관세를 면치 못한 사례가 여럿 있습니다.
본 협정이 캄보디아와 같은 저비용 및 저숙련 노동력을 보유한 국가로 대한민국, 호주, 일본, 뉴질랜드 및 싱가포르(생산비용이 더욱이 높은 국가)의 투자 관심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RCEP협정에 따라 구성 품목이 아시아 15개 시장내 원천하여 RCEP 원산지 규정을 충족하는 한 기업은 공급망의 일부분을 저비용 국가로 안전하게 옮길 수 있으며 제품의 구성 또한 변경하지 않고 아시아내 15개 시장으로 발송할 수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새로운 RCEP 원산지 증명서는 기업의 시간과 비용을 줄여줄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RCEP는 ASEAN에 비서명한 최소 3개의 국가와 ASEAN 기 서명한 6개의 국가가 필요한 국내 비준 절차를 완료하고 공탁소에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한 날로부터 60일 이후에 발효가 됩니다.
DFDL이 함께 하겠습니다.
DFDL은 RCEP협정에 의거하여 귀사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알수 있도록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더나아가 당사는 구조화, 인바운드 투자, 관세 및 자유 무역 협정에 관해 자문을 제공한 경험이 풍부한 전담 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cambodia@dfdl.com으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The information provided here is for information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constitute legal advice. Legal advice should be obtained from qualified legal counsel for all specific situations.
본 메일내 제공된 정보는 정보제공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하며 법률 자문으로서의 효력이 없습니다. 모든 각기의 상황에 따라 충분한 자격을 갗춘 법률 고문가로 부터 법률 자문을 받아야함을 알려드립니다.
Contacts
Partner, Cambodia Deputy Managing Director & Head of Cambodia Tax Practice
파트너, 캄보디아 부 매니징 디렉터 & 캄보디아 조세 실무부 대표
Partner & Head of Cambodia Corporate & Commercial Practice
파트너 & 캄보디아 기업 및 상업실무부 대표
이선민 | Currie Sun Min Lee, esq.
Korea Desk Regional Advisor
DFDL한국담당부서대표